반응형
개발하면서 소수를 다루다보면, 23.234347854234234233와 같이 긴 소수가 나올때가 있다.
이때 특정자리에서 반올림이 아니라 내려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기도 하는데, 이때 사용할수 있는 함수가 바로 floor이다.
예를 들어 23.56을 소수점 둘째자리에서 반올림을 하면 23.6이 되지만, 내림을 하면 23.5가된다.
floor 함수를 사용하는 방법은 아주 단순하다.
목차
- 내림 모듈(math.floor) 패키지 로딩방법
- 내림 모듈(math.floor) 사용방법
- 내림 모듈(math.floor) 활용함수
1. 내림 모듈(math.floor) 패키지 로딩방법
내림 모듈(math.floor)을 이용하려면, import 부터 해야 한다.
아래와 math를 import 한다.
import math
2. 내림 모듈(math.floor) 사용방법
내림 모듈(math.floor)의 사용 방법은 아주 간단하다.
math.floor(100.254)
floor 함수에 100.254를 넣으면
소수점 모두를 버리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 내림 모듈(math.floor) 활용함수
그렇다면, 소숫점 5째자리에서 내림은 어떻게 할것인가?
물론 간단하게
math.floor(100.254678*100000)/100000
이렇게 처리할 수도 있다.
하지만 round()함수 같이 자리수를 지정하게 하고 싶다면,
def _floor(_num, _idx):
idx = 10** _idx
return math.floor(_num*idx)/idx
간단하게 자리수를 지정할수 있는 내림함수를 사용할 수 있다.
반응형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python] mysql연동 방법(pymysql) 알아보기 (0) | 2022.08.22 |
---|---|
파이썬[python] requests 패키지 알아보기 (0) | 2022.08.21 |
파이썬[python] 콤비네이션 모듈(combinations) 알아보기 (0) | 2022.08.19 |
파이썬[python] pip를 이용하여 패키지 특정 버전 설치 (0) | 2022.08.18 |
파이썬[python] 랜덤 모듈(random) 알아보기 (0) | 2022.08.17 |